본문 바로가기
    
       
정보

퇴직금 지급규정 지급기준 중간정산 1년이상 근무자 총정리

by 뭉이백과 2025. 7. 10.
반응형
 

퇴직금 1년미만 지급기준 지급여부 총정리

아르바이트 퇴직금 알바 지급 기준 총정리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면 “나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 하고 궁금한 분들이 많습니다.근로기준법상 아르바이트생도 근로자라면 조건만 맞으면

mooonge8282.tistory.com

 

1. 퇴직금이란 무엇인가요?

퇴직금 지급규정
퇴직금 지급규정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하고 퇴직할 때
고용주가 지급해야 하는 법적 의무입니다.
근로자의 노후 생활 안정공평한 보상을 위해 마련된 제도죠.

 

2. 퇴직금 지급 기준

2025년 기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르면
퇴직금은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발생합니다.

  • 근로기간 : 1년 이상 계속 근로
  • 소정 근로시간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퇴직 사유 : 정년, 계약만료, 자발적 퇴사, 해고 등 무관 (단, 징계해고도 원칙적으로 지급)

즉, 1년 이상 주 15시간 넘게 일했다면 퇴직금은 무조건 발생!

 

3. 퇴직금 계산 방법 (2025년 기준)

퇴직금은 퇴직 직전 3개월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산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근속연수 ÷ 1)
  • 1일 평균임금 : 퇴직 직전 3개월 총 임금 ÷ 총 실제 근무일수
  • 근속연수 : 1년 단위로 계산. 1년 미만은 일할 계산.

예시 :

  • 월 급여 : 250만원
  • 근속기간 : 3년 4개월
  • 3개월간 총 임금 : 750만원
  • 실제 근무일수 : 90일

평균임금 = 750만원 ÷ 90일 = 약 8만3천원
퇴직금 = 8만3천원 × 30일 × 3.33년 = 약 832만원

 

4. 퇴직금 지급 시기와 절차

지급 기한

  •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입니다.
  • 불가피한 사정이 있으면 근로자 동의로 연장 가능.

지급 방법

  • 현금 지급 원칙 (통장 이체 등)
  • 회사는 퇴직소득세 원천징수 후 지급

지급 지연 시

  • 지연 시 연 20% 이자를 가산 지급해야 합니다.
  • 퇴직금 미지급은 임금체불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5. 중간정산은 가능한가요?

퇴직금은 원칙적으로 퇴직 시 지급됩니다.
다만, 법에서 인정하는 예외 사유가 있을 때는 중간정산도 가능합니다.

인정되는 사유 예시 :

  • 무주택자가 주택 구입
  • 임차보증금 반환
  • 가족의 6개월 이상 요양 등

그 외에는 회사가 임의로 중간정산을 강제할 수 없습니다.

 

 6. 퇴직연금제도와 차이점

현재 많은 회사들이 퇴직연금제도 (DC·DB·IRP)를 운영합니다.
퇴직연금은 퇴직금을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해 근로자가 직접 운용하거나
회사와 금융사가 안전하게 관리해주는 방식이죠.

퇴직연금의 핵심

  • 퇴직금이 회사 자금과 분리돼 안전함
  • 근로자가 이직해도 본인 명의 계좌로 이전 가능
  • 노후 자산으로 수령 가능

 

7. 퇴직금 지급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계약직·알바도 받을 수 있나요?

네! 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이면 고용형태 상관없이 동일합니다.

Q2. 자발적으로 퇴사해도 받을 수 있나요?

당연히 가능합니다. 권고사직, 계약만료, 자진퇴사 모두 동일.

Q3. 회사가 퇴직금을 주지 않으면?

관할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 진정을 할 수 있고, 법적 대응 시 지연이자까지 청구됩니다.

 

8. 퇴직금, 반드시 확인해야 할 꿀팁

퇴직 전 급여명세서와 근속기간을 다시 확인하세요.
퇴직금은 세전금액에서 소득세가 공제됩니다.
회사가 퇴직연금에 가입됐다면, 연금계좌 관리 내역도 꼭 확인하세요!

 

마무리

퇴직금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만약 지급이 늦거나 누락된다면
고용노동부 1350 고객센터 또는 관할 고용노동지청으로 즉시 신고하세요.

 

반응형